Lecture

2015년 3월, 위자드웍스에서는 저의 입대를 앞두고 사내 CEO 육성 교육 과정인 ‘Wizard Small MBA’를 실시하였습니다.

모든 강의는 새로운 시도를 위해 아프리카TV를 통해 생중계 되었으며, 이 강의는 누적 3천여명이 시청했습니다.

해당 강의는 이후 편집되어 2015년 5월부터 순차적으로 YouTube에 올라갔습니다. 해당 강의의 커리큘럼과 YouTube 영상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강의가 당초 사내 강의용이었기에 내용이 정제되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시청을 통해 일정 부분에서 불편함을 느끼실 분들께는 미리 양해의 말씀을 드립니다.

저와 위자드웍스의 10여년 간의 미천한 경험이 창업을 준비하시는 분들과 스타트업 종사자들에게 작게나마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Wizard Small MBA 커리큘럼 및 비디오 링크

1. 사업계획서 작성

1) 정부 R&D과제 지원요령을 살펴보고 정부 양식에 맞춘 과제 기획안을 작성, 실제로 지원해본다.
2) VC나 엔젤에게 투자를 받기 위한 각 사업의 3page proposal과 15p 내외 pitch deck을 만들어 본다. (재무 estimation 포함)

2. 채용과 인재수급

1) 각 사업부문별 실제로 필요한(할) 인원에 대하여 채용 포스팅을 작성하고 채용사이트와 각종 채널을 알아본 후 포스팅해본다.
2) 잘된 서류와 안된 서류 case 분석
3) 면접 과정의 필요한 질문들(팀별로 질문 미리 설계 후 모의 면접. 아예 외부인을 실제로 면접 보게 하고 그 느낌 서로 발),
4) 사람을 보는 눈, 사전검증을 위한 장치(레퍼첵, SNS 등), 연봉협의와 각종 계약서, 채용지원 제도 등에 대해 알아본다.
5) 채용 설득하는 법, 초기 지분구조 및 스톡옵션, 인재를 묶어두는 제도들, 스카웃, 평판관리 등

3. 인사/보상체계와 조직문화

1) 각 조직별 승진/보상 시스템 연구
2) 다양한 조직문화 학습 및 토론 (네이버, 카카오, 삼성전자, LG전자, Google, Netflix, Zappos, 스타트업들)
3) 조직구조: Functional/Divisional/Matrix Structure, TF형 수평 조직
4) 보상: 기준이 무엇이 될 것인가? 매니저의 판단 + 객관적 지의 필요성? 필요하면 어떤것? 토론
5) 비전과 미션, 만트라, 회사를 사랑하게 되는 이유들(유능한 동료, 사회적 가치, 나에 대한 인정, 자기계발 등)

4. 사장학

1) 직접적 업무 (말과 글, 비전 제시, 시장에 대한 선구안, 전략, 사업을 판단하는 눈, 다음을 준비하는 방법,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킹, IP관리, 법무, 1:1 케어)
2) 간접적 업무 (홍보, SNS, 인터뷰, 강연, 술자리, 정부/기관의 요청, 언론사의 요청, 각종 거절 방법)
3) 사장의 자기계발(공부, 사장만의 정보 소스, 다양한 네트워크 관리, 관찰의 눈)
4) 사장의 라이프(건강, 가족과 연애, 자기관리, 스트레스 관리, 스케쥴링)

5. 홍보 (1편 / 2편)

1) 언론홍보 (미디어 리스트/미디어킷 작성, 보도자료 작성, 보도자료 발송, 기자와의/홍보담당자간의 네트워킹, 언론사와의 관계, 기자간담회, 홍보행사, 파트너 협력 기사, 위기관리)
2) 비언론홍보 (회사 미디어 운영(블로그/SNS), 사장 개인의 미디어 운영에 대해, 업계사람들을 통한 홍보, 네트워킹, 수상과 선정, 인플루언서 마케팅, 런칭쇼, 사전예약, 베타테스트, 위기관리, 도서 간행)
3) 마케팅 (온라인 이벤트, 오프라인 이벤트, 서포터즈/대학생 마케터 운영, 런칭/1주년 등 파티 기획 및 운영, 명절 선물, 서비스 팬 관리, 앱 리뷰 관리, 순위 마케팅, 제휴 마케팅, 무에서 유를 만들기)

6. 인터넷 서비스 BM 및 사업협력 (1편 / 2편)

1) 커머스 판매수수료/Affiliation(중개)수수료/결제수수료 – 배달의민족, 쿠차, 링크프라이스, 인터파크 티켓, 페이팔, 이니시스 등
2) 커머스 사입 마진 – 쿠팡, 소호몰
3) 디지털 아이템 판매/부분 유료화 – 이음, 게임들
4) 정액제 –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들, 솜프리미엄, 에버노트, 드랍박스, 넷플릭스 등
5) 광고 – CPC, CPM, CPI, CPA, CPV 방식들 (+ 리워드)
6) Give & Take 구조 짜기
7) 1+1=4를 만드는 제휴의 미학
8) 쓸데없는 전략적 제휴 톱아보기
9) 사업제휴 제안서 작성
10) 아웃소싱에 대해 알아보자. 아웃소싱 계약서 만들어보기.

8. 재무/주주관계 – 이 편 이후로는 동영상이 아직 업로드 되지 않았습니다.

1) 자금일보/주보 써보기. 각 사업별 가상 손익계산 해보기
2) 주주간담회, 주주레터, 투명한 사업현황, 재무현황 공개
3) 때로는 지르기도 해야 하고, 때로는 정보 컨트롤도 필요하다.
4) 돈 관리. 견물생심 방지를 위한 이중 결제, 법인카드의 사용, 투명한 경영의 중요성.
5) 회계법인과의 관계

9. 미래 보기

1) 트렌드 조사와 예측(상상) (2016, 2020, 2030, 2050)
2) 지금 있는 스타트업 중 잘될 회사 찍어보고 이유 써본 후 서로 발. 난상 토론 벌인 후 바뀐 종목 있는지 확인.
3) 앞으로 다가올 (미시적, 거시적) 변화 반영해 지금 내 사업의 SWOT 분석 해보기. SWOT에 따른 전략적 대응 적어보기

10. 사업 전략

1) 후발주자의 전략 (가격 차별화, 기능 차별화, 업계의 관습 파괴, 날카로운 창 세우기, 패에 말리지 않기(배달통의 따라쟁이 광고))
2) 선발주자의 전략 (키워드 독점, 자기 계획을 업계의 흐름으로 만들기(책/논문/기사/발 등), 후발주자 누르기, 공격적 확장과 버퍼 만들기, IP전략)
3) 경쟁에서 이기는 법 (업의 본질 파악해 집중(쿠팡 로켓배송 등), 컨텐츠 비슷할 땐 유통경로의 확대(채널링, 번역/제휴를 통한 해외진출, 기존에 없던 고객접점 추가 등), 일체되고 확고한 브랜드 경험 강화.

11. 제품 개발과 출시

1) 사업기획, 제품기획 과정에서 해야하는 것들
2) 출시 전에 해야하는 것들과 출시 때 해야하는 것들
3) 출시 후에 해야하는 것들과 지 관리, 제품의 성패 판단과 지속 투자 판단
4) 법무 이슈 대비, 보안 정책, 위기 관리, 저작권, 협력사 관계 등

12. 프로 정신과 에티켓

1) 이메일 에티켓(시간, CC/BCC, 메일서명과 연락처), 명함, 인사예절, 술자리, 선후배를 대할 때, 성희롱 예방
2) 프로로 가는 길
3) 사람에 투자하는 것
4) 국내외 인터넷 업계 주요 인물과 기업들에 대한 설명 및 성과 소개
5) 어떤 꿈을 꿀 것인가. 커리어 관리. 사회적 가치. 경험의 기록과 공유.

Comments

3 responses to “Lecture”

  1. 나영우 Avatar
    나영우

    잘 부탁드립니다

  2. 김지윤 Avatar

    공개수업 열심히 많이 들으려고요 잘부탁드립니다

  3. 조푸른솔 Avatar
    조푸른솔

    청강 신청합니다.표대표님의 살아있는 지식과 경험 꼭 배우고 싶습니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

Blog at WordPress.com.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