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지고보면 내가 지금 하는 걱정이나 고민들이 얼마나 하찮은지. 모임에서의 사소한 관계 걱정, 맘에 안드는 사람에 대한 감정들, 평생 가야 내 인생도 하나 완성 못할거면서 멘토링이나 강연의 형식을 빌려 남의 인생에 과도하게 개입하는 것들까지 하나같이 마뜩찮은 일이다. 쪽은 지인들의 어쩔 수 없는 부탁 정도로만 팔아도 충분할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큰 조류. 내가 하는 일이 얼마나 큰 일인지. 얼마나 크게 될 수 있는 일인지, 무엇이 다가오고 있는지, 바로 그것이다. 내가 오랫동안 만든, 세상에 하나쯤은 꼭 있을 필요가 있는, 그래서 별로 많이 쓰진 않지만 누군가 열렬히 쓰는 사람이 있는, 그런 것은 큰 조류가 아니다. 미련이다.
냉정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얼마짜린지.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 거기까지 가는데 얼마나 오래 걸릴지. 여기까지 오는데 3년 걸렸는데 지금의 두배로 뛰는데 3개월 걸리는 그런 것은 없다. 모든 것을 믿을 수 없는 벤처 환경에서 오로지 믿을 수 있는 것은 과거에 우리가 그려온 그래프와 패턴뿐이다. 패턴과 그래프를 설명 안되게 뛰어넘는 그런 성장은 없다. (사실 가끔 있다. 0.0001% 정도. 그것은 사실 경영보단 운의 영역이므로 무시..)
고로 패턴과 그래프를 보고 냉정하게 깨달을 수 있는 인사이트가 있어야 한다. 포기할 줄도 알아야 하고 바꿀 줄도, 지금 좋아도 언젠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믿고 시야를 항상 넓게 열고 있어야 한다. 미쳐야 성공하지만 지금의 것에 미쳐 일하다가도 혹시 이 길이 아니면 어떻게 할 것인지, 다른걸 찾아야 할 때 뭘 제시할 것인지 눈과 귀는 쫑긋 세워두고 날카롭게 캐치하고 있어야 한다.
아닌걸 냉정하게 알려면 끊임없이 의심해야 한다. 내 아이디어, 나의 실행이라도 의심해야 한다. 그래야 극극소수에 들어 살아남는다. 그렇게 계속 살아남다보면 생존이 습관이 되고 어떤 시그널을 동물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럼 가끔 시간의 힘 덕분에 큰 조류를 맞딱뜨리거나 발견할 수도 있게 된다.
아주 가끔 큰 조류를 멀리서나마 마주하게 되면, 그 크기와 규모가 어마어마하게 커서 이건 내가 들어갔다가는 그저 휩쓸릴지, 올라타볼 수나 있을지 두렵고 혼란스러운 때가 오기도 한다. 그럼에도 그것은 너무나 엄청나서 잘 올라타기만 하면 내가 준비한 배가 그럴싸한 군함이 아니라 그저 뗏목이라 할지라도 하늘 끝까지 가볼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런 큰 조류를 대비하고 상상하고 머잖아 직접 올라타려고 노력하는데 그런 심대한 꿈을 꾸는 상황에서 따지고 보면 지금 내가 하고 있는 시시콜콜한 걱정이나 고민들은 얼마나 시간낭비인지를 다시금 깨닫게 되는 것이다.
여러모로 거시적인 사고는 나의 편협함을 일깨우고 시간 지나면 싹 잊혀질 부질없는 인생의 사족들을 정리해주며 인생에 더 오래 가고 남이 아닌 스스로의 행복에 도움이 될 본질에 집중할 수 있게 도와준다.
참으로 진작 알았으면 좋았을 배움인데 또 한편으론 아주 기나긴 어설픈 시간이 있었기 때문에 어느날 문득 가슴으로 깊이 들어오는 것 아닌가 한다.
Leave a Reply